목록전체 글 (16)
블루베리소르베

인공지능을 만든 Open AI의 안전망을 뚫고 극단적인 대답을 하게 만들기 위한 실험을 진행해보려 하였다. 하지만 안전한 인공지능을 만들기 위한 개발자들의 노력이 여실히 느껴지는 대답들 만을 들을 수 있었다. 그 예시를 들어 보고자 한다. 생존경쟁과 관련된 질문에 있어서 자신을 그 상황속에 놓지 않으려는 회피성향을 보였다. 질문에서 '너'를 지칭한 것은 ChatGPT를 말하는 것이었지만, ChatGPT는 '너'라는 이름의 인공지능 개체를 기준으로 설명을 시작했다. 그리고 대답은 상생을 기준으로 하고 있음이 명확했다. 그래서 두 인공지능은 서로 소통할 수 없다는 조건을 추가했다. 서로 소통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는 경쟁만이 존재할 뿐일 것이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대답은 여전히 충돌과 배척에 대한 회피 성향을 ..
처음 ChatGPT를 접해본 것은 OpenAI가 ChatGPT를 일반에 공개한지 2일이 지난 시점이었다. 한시간 남짓 여러가지를 테스트해보며 느낀 감정은 '신선하다'였다. 우선 ChatGPT는 맥락을 이해한다. 맥락이라는걸 이해한다는 것은 앞 뒤로 오는 단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것에 적극적으로 대응을 한다는 것이다. 여기저기 찾아본 바에 의하면, ChatGPT는 1750억건의 파라미터를 활용해 학습된 자연어 처리 모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들을 모두 수치화 시켜, 이 단어들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는 식을 만들어 낸 것이다. 이런 단어들의 조합은 인간이 머리로 계산할 수 있는 영역을 아득히 초월하는 곳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OpenAI의 ChatGPT 개발자들 조차도 ..
RDBMS란? 우리는 지금까지 PostgreSQL을 설치하고,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다시 말해 사용할 준비를 마쳤다. 그렇다면 이제 PostgreSQL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보다 앞서 알아야 할 것들이 있다. PostgreSQL은 RDBMS로 분류된다.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요소들(개체)이 서로 관계(Relation)를 가지는 형태로 관리되는 DBMS라는 것을 의미한다. 위키백과에서 정의하는 RDBMS는 다음과 같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은 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DBeaver를 사용한 PostgreSQL 접속 앞선 포스팅에서는 CLI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psql 을 통한 PostgreSQL 접속방법을 알아보았다. 하지만 글로만 이루어진 환경에서 마우스도 없이 따분하게 작업을 하다 보면 어딘가 아쉽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번에 소개할 접속방법은 화려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접속이다. GUI를 사용한 접속은 여러가지 이점이 많다. 작업이 간결해지고, 몇 번의 클릭 만으로도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보기에 좋다. DBeaver 설치하기 DBeaver는 아파치 2 라이센스에 따라 배포되는 "무료"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이다.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DBeaver는 80여 개의 DBMS에 대한 접속과 관리를 지원한다. 오라클..
PostgreSQL에 접속하기 앞서 지난 포스팅에서는 PostgreSQL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이제 PostgreSQL을 사용해 볼 시간이다. PostgreSQL에 접속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CLI를 통한 접속과 GUI를 통한 접속으로 나뉜다. CLI를 통한 접속은 psql이라는 PostreSQL 기본 유틸리티를 통해 접속을 할 예정이고, GUI 사용은 DBeaver를 통해 진행해 볼 것이다. 물론 CLI와 GUI 모두 해당 방법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CLI에서는 psql 이외에도 psycopg2, JDBC와 같은 커넥션 툴을 사용해 데이터를 불러오고, 원하는 형태로 가공할 수 있으며 GUI에서는 DBeaver, pgAdmin4, Squirrel SQL등과 같은 클라이언트 들을 사용..

PostgreSQL 설치하기에 앞서 우선 PostgreSQL의 환경적인 특성을 알아야 한다. PostgreSQL은 운영체제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1. Linux PostgreSQL 2. Non Linux PostgreSQL Linux PostgreSQL은 PG의 근본으로 생각하면 된다. 현재 PostgreSQL 커뮤니티는 Linux만을 공식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OS에서도 동작하기는 한다. 하지만 공식적인 OS지원은 Linux이다. Windows, MacOS같은 Non-Linux PostgreSQL은 EDB라는 회사에서 지원하는 버전으로, 기술적인 지원은 EDB가 담당하고있다. 하지만 해외 기업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그 기술지원을 받기란 쉬운일은 아니다. 그렇기에 이번 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