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ATA/PostgreSQL (8)
블루베리소르베
RDBMS란? 우리는 지금까지 PostgreSQL을 설치하고,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다시 말해 사용할 준비를 마쳤다. 그렇다면 이제 PostgreSQL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그보다 앞서 알아야 할 것들이 있다. PostgreSQL은 RDBMS로 분류된다.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이란,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내부 요소들(개체)이 서로 관계(Relation)를 가지는 형태로 관리되는 DBMS라는 것을 의미한다. 위키백과에서 정의하는 RDBMS는 다음과 같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RDBMS)은 관계형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DBeaver를 사용한 PostgreSQL 접속 앞선 포스팅에서는 CLI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psql 을 통한 PostgreSQL 접속방법을 알아보았다. 하지만 글로만 이루어진 환경에서 마우스도 없이 따분하게 작업을 하다 보면 어딘가 아쉽기 마련이다. 그래서 이번에 소개할 접속방법은 화려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접속이다. GUI를 사용한 접속은 여러가지 이점이 많다. 작업이 간결해지고, 몇 번의 클릭 만으로도 원하는 정보를 쉽게 찾아낼 수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보기에 좋다. DBeaver 설치하기 DBeaver는 아파치 2 라이센스에 따라 배포되는 "무료"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램이다.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DBeaver는 80여 개의 DBMS에 대한 접속과 관리를 지원한다. 오라클..
PostgreSQL에 접속하기 앞서 지난 포스팅에서는 PostgreSQL을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이제 PostgreSQL을 사용해 볼 시간이다. PostgreSQL에 접속하는 방법은 기본적으로 CLI를 통한 접속과 GUI를 통한 접속으로 나뉜다. CLI를 통한 접속은 psql이라는 PostreSQL 기본 유틸리티를 통해 접속을 할 예정이고, GUI 사용은 DBeaver를 통해 진행해 볼 것이다. 물론 CLI와 GUI 모두 해당 방법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CLI에서는 psql 이외에도 psycopg2, JDBC와 같은 커넥션 툴을 사용해 데이터를 불러오고, 원하는 형태로 가공할 수 있으며 GUI에서는 DBeaver, pgAdmin4, Squirrel SQL등과 같은 클라이언트 들을 사용..

PostgreSQL 설치하기에 앞서 우선 PostgreSQL의 환경적인 특성을 알아야 한다. PostgreSQL은 운영체제에 따라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1. Linux PostgreSQL 2. Non Linux PostgreSQL Linux PostgreSQL은 PG의 근본으로 생각하면 된다. 현재 PostgreSQL 커뮤니티는 Linux만을 공식지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다른 OS에서도 동작하기는 한다. 하지만 공식적인 OS지원은 Linux이다. Windows, MacOS같은 Non-Linux PostgreSQL은 EDB라는 회사에서 지원하는 버전으로, 기술적인 지원은 EDB가 담당하고있다. 하지만 해외 기업이기 때문에 한국에서 그 기술지원을 받기란 쉬운일은 아니다. 그렇기에 이번 설치..
PostgreSQL이 주목 받기 까지 개발을 어느정도 접해본 사람들이라면 DBMS라는 개념에 대해서 알고있을 것이다. Data Base Management System. 즉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시스템인 DBMS는 주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전반에 걸친 작업을 관장하는 솔루션이다. DBMS의 역사는 길고 복잡하다. 전선을 엮어서 코드를 짜던 시절부터 고민되어 오던 것들이 현재에 이른 것이니, 그 시간만큼 다양하고 또 복잡해졌을 것은 분명하다. DBMS라고 하면 늘 따라다니는 이름이 하나 있다. 바로 'Oracle' 이다. Oracle DBMS는 현재 대한민국의 DBMS시장을 거의 전부 장악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한때 시장의 95%이상을 장악하고 있었으니 두말하면 입이 아플 것이다. 이런..
머리말 목차 1. PostgreSQL이란? 2. PostgreSQL의 간략한 역사 2.1. 버클리 POSTGRES 프로젝트 2.2. Postgres95 2.3. PostgreSQL 3. 규정 4. 추가 정보 5. 버그 보고를 위한 가이드라인 5.1. 버그 특정하기 5.2. 무엇을 보고할 것 인가 5.3. 버그를 어디에 보고할 것 인가 이 책은 PostgreSQL의 공식 문서이다. 이것은 PostgreSQL의 개발자들과 PostgreSQL 소프트웨어 개발을 병행하는 지원자들에 의해 쓰여졌다. 이 문서에서는 최신 버전의 PostgreSQL이 공식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모든 기능들에 대한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PostgreSQL에 관한 많은 정보들을 담기 위해 이 책은 여러 파트로 구성되어 있다. ..